디종 FCO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종 FCO는 1903년 창단된 세르클러 라이크 디종을 모체로 하며, 1998년 디종 FC와 합병하여 창단된 프랑스 축구 클럽이다. 2002년 루디 가르시아 감독 부임 이후 프로화와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 진출, 리그 2 승격을 달성하며 주목받았다. 2011년 구단 역사상 최초로 리그 1으로 승격했지만,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고, 2016년에 다시 리그 1으로 승격하여 2020-2021 시즌까지 리그 1에 머물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고뉴프랑슈콩테의 축구단 - FC 소쇼-몽벨리아르
FC 소쇼-몽벨리아르는 1928년 푸조의 근로자를 위해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1930년 AS 몽벨리아르와 합병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리그 1 우승과 쿠프 드 프랑스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3년 서포터 조직이 구단주가 되어 3부 리그에서 재출발했다. - 부르고뉴프랑슈콩테의 축구단 - AJ 오세르
AJ 오세르는 1905년 창단되어 기 루 감독의 지도 아래 1995-96시즌 리그 1과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으나, 승강을 반복하다 2023-24 시즌 리그 2 우승으로 다시 리그 1에 복귀한 프랑스의 축구 클럽이다. - 리그 2 구단 - FC 지롱댕 드 보르도
FC 지롱댕 드 보르도는 1881년에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리그 1과 쿠프 드 프랑스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명문 구단으로 자리 잡았으나, 2024년 재정 문제로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 강등되었다. - 리그 2 구단 - AC 아작시오
AC 아작시오는 프랑스 코르시카 섬 아작시오를 연고로 하는 1910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코르시카 챔피언십 8회 우승, SC 바스티아와 오랜 라이벌 관계, 프랑스 최고 리그 최초 진출 등의 역사를 가지며 곰을 상징으로 한다. - 1998년 설립된 축구단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는 일본 여자 축구 리그(WE리그) 소속의 여자 축구 클럽으로, 1998년 창단되어 200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WE리그와 나데시코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고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 1998년 설립된 축구단 -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는 1998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7번 우승을 차지하며 최강팀으로 군림했으나, 모기업의 재정난으로 2016년에 해체된 대한민국의 실업 축구단이다.
디종 FCO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디종 푸트볼 코트도르 |
로마자 표기 | Dijon Football Côte-d'Or |
별칭 | 레 루즈 (Les rouges, 붉은색) |
약칭 | 디종 FCO |
창단 | 1998년 |
홈 구장 | 스타드 가스통 제라르 |
수용 인원 | 15,459명 |
구단주 | 피에르 앙리 드발롱 |
구단주 직함 | 회장 |
감독 | 바티스트 리디라 |
웹사이트 | 디종 FCO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
최근 시즌 정보 | |
리그 | 프랑스 전국 선수권 대회 |
시즌 | 2023-24 시즌 |
순위 | 10위 |
2. 역사
1998년 디종 지역의 두 클럽인 '세르클러 라이크 디종'과 '디종 FC'가 합병하여 디종 FCO가 창단되었다.
2000년대 초반, 디종은 프랑스 리그에서 주로 하위권을 맴돌았으나, 2002년 루디 가르시아 감독 부임과 2004년 프로화를 기점으로 전환기를 맞았다. 2004년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에 진출하고 리그 2로 승격했다.[1]
이후 디종은 리그 2에서 꾸준히 리그 1 승격을 노렸다. 2006-07 시즌에는 루디 가르시아 감독이 르망 FC로 떠난 후 세르주 로마노, 파루크 하지베지치, 파트리스 카르테롱 감독이 차례로 팀을 이끌었다. 2010-11 시즌, 디종은 마침내 리그 2 3위를 기록하며 역사적인 리그 1 승격을 달성했다.
2011-12 시즌, 디종은 첫 리그 1 경험에서 렌과의 개막전 1-5 대패를 포함, 부진을 면치 못하고 리그 2로 강등되었다.[3]
2012년 올리비에 달롤리오 감독 부임 후, 리그 2 2015-16 시즌 2위를 기록하며 리그 1으로 재승격했다.[1] 이후 리그 1에서 중위권 성적을 유지했으나, 2020–21 리그 1 시즌 다시 리그 2로 강등되었다.[5]
2. 1. 창단 이전 (1903-1998)
1903년 '세르클러 라이크 디종'(디종 세속 클럽)이 창단되었고, 1913년 축구단을 창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구단은 '세르클러 스포르티프 디종'(디종 스포츠 클럽)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45년 부르고뉴 지역 리그에 참여했으며, 1960년 부르고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1962년 아마추어 최상위 리그 샹피오나 드 프랑스 아마퇴르에 참가했으며, 피에르 단젤 감독 지휘 아래 1965년 CFA 리그에서 우승했다.[1]
1998년 디종 지역 최강자인 '세르클러 라이크 디종'과 '디종 FC'가 합병되어 '디종 풋볼 코트도르'가 탄생했다.[1]
2. 2. 디종 FCO 창단과 초기 (1998-2005)
1998년 디종 지역의 최강자인 '세르클러 라이크 디종'과 '디종 FC'가 합병되어 '디종 풋볼 코트도르'(디종 FCO)가 탄생했다.[1] 2000년대 초반까지 디종 구단은 강등을 면하기 바빴던 클럽이었다.[1] 2002년 루디 가르시아 감독이 지휘봉을 잡고, 2004년 구단이 프로화를 거치며 구단의 운명은 뒤바뀌었다.[1] 2004년 디종은 쿠프 드 프랑스에서 생테티엔, 랑스, 랭스, 아미앵을 꺾고 준결승에 올랐으나 샤토루에게 패했다.[1] 같은 해 리그 2로 승격했다.[1]2. 3. 리그 2와 리그 1 승격 (2005-2011)
2004년 디종은 쿠프 드 프랑스에서 준결승에 오르고, 동시에 리그 2로 승격에 성공했다.[3] 리그 2 승격으로 인해 클럽은 프로와 아마추어의 두 개로 분리되었다. 제한된 자원과 열악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디종 FCO는 리그 2 첫 시즌에 인상적인 4위를 기록했다. 또한, 클럽은 쿠프 드 라 리그 16강에서 보르도를 꺾는 성과를 거두었다.[6]2005-06 시즌이 끝날 무렵, 클럽은 5위를 기록했다. 클럽의 목표는 리그 1 승격이었다. 리그 1 2006-07 시즌 동안 디종은 포디움 진입의 몇 차례 기회를 아쉽게 놓쳤지만, 결국 8위를 기록했다.[7] 2007년 6월, 루디 가르시아가 르망 감독으로 떠나면서 한 시대가 끝났다. 새로운 감독인 세르주 로마노는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시즌 중 상위 3위 안에 들도록 이끌었지만, 순위가 하락한 후 2007년 12월에 해고되었다.[7] 그는 임시 감독을 잠시 맡았던 프레데릭 붐파르를 대신하여 2008년 1월 파루크 하지베기치로 교체되었다. 새 감독은 시즌 마지막 날 AC 아작시오와의 원정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클럽을 강등의 위험에서 구했다.[7] 같은 해, 클럽은 쿠프 드 프랑스 8강에 처음으로 진출했지만 2008년 4월 15일 아미앵에게 패했다.[7]
2008-09 시즌에는 프랑스 국가대표 선수 에릭 카리에르와 AC 밀란에서 임대 온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이 합류했다. 그들의 기여에도 불구하고 디종 FCO는 순위표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4월에 강등권에서 벗어났다. 쿠프 드 프랑스에서는 디종이 리그 1 팀 그르노블과의 1-1 무승부 끝에 승부차기에서 패했다.
2009년 여름, 베르나르 그네키 회장과 당시 감독이었던 파루크 하지베기치 사이에 분쟁이 발생한 후, 그네키는 파트리스 카르테롱을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했다. 첫 시즌을 중위권으로 마친 후, 디종 FCO는 리그 2에서 3위를 차지하여 2010-11 시즌이 끝날 때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 1으로 승격되었다.
2. 4. 리그 1에서의 도전과 강등 (2011-2012)
디종 FCO는 2011-12 시즌에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 1에서 경기를 치렀다. 2011년 8월 7일, 부르고뉴 클럽은 홈에서 렌을 상대로 첫 최상위 리그 경기를 치렀으며, 첫 골을 기록하고 첫 패배(1-5)를 기록했다.[3] 그 다음 토요일, 디종은 툴루즈에게 2-0으로 패했다.[3] 디종의 리그 1 첫 승리는 8월 20일 로리앙을 상대로 홈에서 거뒀다(2-0).[3] 클럽은 아네시에서 에비앙 토농-가이야르를 상대로 두 번째 경기를 승리했지만(0-1),[3] 다음 경기에서 홈에서 리옹에게 패했다(1-2).[3] 디종은 겨울 휴식기에서 16위를 기록했고, 이후 좋은 결과를 기록하여 미래의 챔피언 몽펠리에와 비기고(1-1),[3] 2012년 3월 17일 마르세유를 꺾었지만(2-1),[3] 뱅자맹 코르네와 전 첼시 선수 가엘 카쿠타와 같은 주요 선수들의 내부 갈등과 부진한 경기력은 시즌 말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2012년 3월 25일 SM 캉을 상대로 승리한 후(2-0),[3] 디종은 다른 경기를 이기지 못하고 6번 패하고 3번 비겼다.[3] 2012년 5월 20일 시즌 마지막 날, 디종은 렌에게 크게 패했고(5-0),[3] 지역 라이벌 오세르와 함께 공식적으로 리그 2로 강등되었다.[3] 38경기에서 63골을 내준 디종은 최상위 리그 첫 시즌에 리그 1에서 최악의 수비를 기록했다.[3] 강등 후, 구단 회장 베르나르 그네키가 사임했고, 감독 파트리스 카테론이 클럽을 떠났다.[3]2. 5. 리그 2 복귀와 재승격 (2012-2016)
2012년 올리비에 달롤리오 감독이 디종 FCO의 지휘봉을 잡았다. 리그 2 2015-16 시즌, 디종은 리그 2위를 기록하며 리그 1으로 재승격에 성공하였다.[1] 이 시기 디종의 회장은 올리비에 델쿠르였다. 리그 2로 복귀한 첫 시즌(2012-13)에 디종은 7위를 기록했고, 2016년 4월 22일, 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번 리그 1 승격을 확정지었다.[1]2. 6. 리그 1 재도전과 반복되는 강등 (2016-2021)
2012년 올리비에 달롤리오 감독이 지휘봉을 잡았고, 리그 2 2015-16 시즌을 2위로 마치며 리그 1으로 재차 승격에 성공하였다.[2] 리그 1으로 복귀한 첫 시즌에 강등을 면하며 16위로 마감했다. 리그 1 2017-18 시즌에서 디종은 11위로 마감하며, 지난 시즌에 세운 클럽 최고 기록인 16위를 경신했다. 클럽 역사상 세 번째로 치른 최고 리그 시즌이었던 2017-18 시즌에서 디종은 48점을 획득하며, 작년에 기록한 점수보다 11점 더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3]2018–19 리그 1 시즌에서 디종은 18위로 시즌을 마감하여 리그 2의 RC 랑스와 2차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1차전에서 1-1로 비긴 후, 2차전에서 디종은 3-1로 승리하며, 랑스 골키퍼 제레미 바쇼의 두 번의 실책으로 인해 랑스가 리그 1 승격의 기회를 놓치고, 디종의 잔류를 확정지었다.[4]
2020–21 리그 1 시즌에서 디종은 2021년 4월 25일 스타드 렌 FC에 5-1로 패배한 후, 4경기를 남겨두고 리그 2로 강등되었다.[5]
3. 역대 성적
시즌 | 디비전 | 쿠프 드 프랑스 | 쿠프 드 라 리그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1997-98 | 프랑스 아마추어 선수권 그룹 A | 34 | 15 | 9 | 10 | 63 | 46 | 54 | 4위 | | | |
1998-99 | 프랑스 아마추어 선수권 그룹 A | 34 | 14 | 11 | 9 | 65 | 41 | 87 | 5위 | | | |
1999-2000 | 프랑스 아마추어 선수권 그룹 A | 34 | 21 | 6 | 7 | 62 | 33 | 103 | 2위 | | | |
2000-01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38 | 9 | 15 | 14 | 43 | 53 | 42 | 16위 | | | |
2001-02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38 | 12 | 6 | 20 | 40 | 53 | 42 | 15위 | | | |
2002-03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38 | 17 | 10 | 11 | 65 | 59 | 61 | 4위 | | | |
2003-04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38 | 19 | 7 | 12 | 49 | 36 | 64 | 3위 | | | |
2004-05 | 리그 2 | 38 | 14 | 15 | 9 | 44 | 34 | 57 | 4위 | | | |
2005-06 | 리그 2 | 38 | 16 | 12 | 10 | 47 | 32 | 60 | 5위 | | | |
2006-07 | 리그 2 | 38 | 14 | 12 | 12 | 44 | 47 | 54 | 8위 | | | |
2007-08 | 리그 2 | 38 | 9 | 15 | 14 | 32 | 51 | 42 | 17위 | 8강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08-09 | 리그 2 | 38 | 14 | 10 | 14 | 43 | 46 | 52 | 8위 | 16강 | 1라운드 탈락 |
2009-10 | 리그 2 | 38 | 12 | 15 | 11 | 52 | 46 | 51 | 9위 | 8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10-11 | 리그 2 | 38 | 17 | 11 | 10 | 55 | 40 | 62 | 3위 | 8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2011-12 | 리그 1 | 38 | 9 | 9 | 20 | 38 | 63 | 36 | 19위 | 16강 | 8강 탈락 |
2012-13 | 리그 2 | 38 | 15 | 14 | 9 | 52 | 49 | 59 | 7위 | 7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13-14 | 리그 2 | 38 | 14 | 15 | 9 | 53 | 42 | 57 | 6위 | 32강 | 1라운드 탈락 |
2014-15 | 리그 2 | 38 | 17 | 10 | 11 | 44 | 34 | 61 | 4위 | 32강 | 2라운드 탈락 |
2015-16 | 리그 2 | 38 | 20 | 10 | 8 | 62 | 36 | 70 | 2위 | 8라운드 탈락 | 16강 |
2016-17 | 리그 1 | 38 | 8 | 13 | 17 | 46 | 58 | 37 | 16위 | 32강 | 3라운드 탈락 |
2017-18 | 리그 1 | 38 | 13 | 9 | 16 | 55 | 73 | 48 | 11위 | 64강 | 3라운드 탈락 |
2018-19 | 리그 1 | 38 | 9 | 7 | 22 | 31 | 60 | 34 | 18위 | 8강 탈락 | 16강 |
2019-20 | 리그 1 | 28 | 7 | 9 | 12 | 27 | 37 | 30 | 16위 | 8강 탈락 | 3라운드 탈락 |
2020-21 | 리그 1 | 38 | 4 | 9 | 25 | 25 | 73 | 21 | 20위 | 64강 | - |
4. 선수단
디종 FCO는 지속적으로 선수단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다음은 현재 선수단의 일부이다.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레니 몽포르 | Lenny Montfort프랑스어 |
2 | DF | 이스마일 디알로 | Ismail Diallo프랑스어 |
3 | DF | 나심 티테바 | Nassim Titebah프랑스어 |
4 | DF | 엘리자 멘디 | Elydjah Mendy프랑스어 |
5 | DF | 캉탱 베르나르 | Quentin Bernard프랑스어 |
6 | MF | 라얀 수이시 | Rayan Souici프랑스어 |
7 | DF | 벤-샤옐 하마다 | Ben-Chayeel Hamadacom |
8 | FW | 케빈 쉬르 | Kévin Schur프랑스어 |
9 | FW | 모하메드 벤 프레지 | Mohamed Ben Fredjtun |
10 | FW | 조바니 이캉가 (레드 스타에서 임대) | Jovany Ikanga프랑스어 |
11 | MF | 아델 렘베자 | Adel Lembezat프랑스어 |
13 | DF | 술레이만 시세 | Souleymane Cissé프랑스어 |
14 | MF | 조르당 마리에 | Jordan Marié프랑스어 |
16 | GK | 폴 들라크루아 | Paul Delecroix프랑스어 |
17 | MF | 야니스 샤히드 | Yanis Chahid프랑스어 |
19 | FW | 조제프 멘데스 | Joseph Mendesgnb |
20 | DF | 위고 바르가스-리오스 | Hugo Vargas-Rios프랑스어 |
21 | DF | 모하메드 실라 | Mohamed Sylla프랑스어 |
22 | FW | 카데르 은쇼비 | Kader N'Chobi프랑스어 |
23 | DF | 세드리크 마쿠퉁구 | Cédric Makutungu프랑스어 |
25 | FW | 알렉상드르 파르스멩 | Alexandre Parsemain프랑스어 |
26 | MF | 쥘 메이어 | Jules Meyer프랑스어 |
27 | MF | 조란 모코 | Zoran Mocoglp |
30 | GK | 빅토르 푸아송 | Victor Poisson프랑스어 |
37 | FW | 압델마지드 자에 | Abdelmajid Djae프랑스어 |
주: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근거하여 선수의 국적을 표기한다.[6]
4. 1. 현재 선수단 (2024년 10월 14일 기준)
2024년 10월 14일프랑스어 기준 선수 명단.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벤자민 르로이 | 프랑스 |
2 | DF | 렁 아담 | 헝가리 |
3 | MF | 앙토니 벨몽테 | 프랑스 |
4 | DF | 조르당 로티에 | 프랑스 |
5 | DF | 파피 질로보지 | 세네갈 |
6 | MF | 기욤 사라베이루 | 프랑스 |
7 | FW | 요앙 리비에르 | 프랑스 |
8 | MF | 피에르 리-멜루 | 프랑스 |
9 | FW | 로이스 디오니 | 프랑스 |
10 | MF | 제레미 벨라 | 프랑스 |
11 | FW | 줄리우 타바레스 | 카보베르데 |
13 | MF | 마르뱅 마르탱 | 프랑스 |
14 | MF | 조르당 마리에 | 프랑스 |
15 | MF | 플로랑 발몽 | 프랑스 |
16 | GK | 보비 알랭 | 프랑스 |
17 | MF | 메디 아베이드 | 알제리 |
18 | MF | 프레데릭 사마리타노 | 프랑스 |
19 | DF | 발렌탱 로시에르 | 프랑스 |
20 | MF | 로맹 아말피타노 | 프랑스 |
21 | DF | 유니스 압델하미드 | 모로코 |
23 | DF | 빈센트 뤼플리 | 스위스 |
25 | DF | 아놀 부카 무투 | 콩고 공화국 |
26 | DF | 푸아드 샤픽 | 모로코 |
27 | DF | 세드리크 바로 | 프랑스 |
29 | MF | 딜랭 바암불라 | 프랑스 |
30 | GK | 밥티스테 레이네 | 프랑스 |
MF | 요앙 가스티엥 | 프랑스 |
4. 2. 역대 주요 선수
5.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브누아 타베노 |
수석 코치 | 디디에 라크루아 |
골키퍼 코치 | 클로드 에로 |
피트니스 코치 | 그레고리 망시엔, 테오 피에로 |
비디오 분석가 | 피에르-알랭 몽트세 |
스포츠 의사 | 필리프 폴린 |
물리치료사 | 니콜라 디드리, 코랑탱 보아조 |
짐 관리인 | 조르단 테라드 |
인사 담당 이사 | 제라르 보노 |
영입 담당 | 장-파트리크 모렐, 요한 리비에르 |
6.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Léon Glovacki|레옹 글로바츠키프랑스어 | 1962~1966 |
Olivier Dall'Oglio|올리비에 달롤리오프랑스어 | 2012~2018 |
Antoine Kombouaré|앙투안 콩부아레프랑스어 | 2019 |
스테판 조바르 | 2019~2020 |
다비드 리나레스 | 2020~2021 |
Omar Daf|오마르 다프프랑스어 | 2022~2023 |
노엘 토시 | 1998–99 |
다니엘 조셉 | 1999–01 |
마리오 렐미 | 2001–02 |
루디 가르시아 | 2002–07 |
세르주 로마노 | 2007년 6월 – 2007년 12월 |
프레데릭 붐파드 | 2007년 12월 |
파루크 하지베기치 | 2007년 12월 – 2009년 6월 |
파트리스 카르테론 | 2009년 7월 – 2012년 5월 |
올리비에 달롤리오 | 2012년 6월 - 2018년 12월 |
앙투안 콤부아레 | 2019년 1월 - 2019년 6월 |
스테판 조바르 | 2019년 6월 - 2020년 |
다비드 리나레스 | 2020년 - 2021년 |
파트리스 가랑드 | 2021년 - 2022년 |
오마르 다프 | 2022년 - 2023년 |
파스칼 뒤프라 | 2023 |
브누아 타베노 | 2023년–현재 |
7. 클럽 상징
올빼미는 디종 노트르담 교회의 건축 세부 사항과 관련되어 있으며, 도시의 상징이다. 구단의 첫 번째 문장은 디종의 기욤 문 (다르시 광장)을 배경으로 하고 앞쪽에 올빼미가 있는 모습이었다. 2006년 버전에서는 올빼미가 완전히 날갯짓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기욤 문은 팀의 새로운 홈 유니폼에 맞춰 단순한 빨간색 배경으로 바뀌었다. 올빼미는 승리를 의미하는 V자를 나타내기 위해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묘사된다. 날개 사이에는 구단의 현대적 형태의 창립 연도인 "1998"이 나타나고, 상단에는 'DFCO'와 'Dijon Football Côte d'Or'가 표시되었다. 현재 문장은 2006년 버전을 업데이트한 것으로, 'Dijon Football Côte d'Or'라는 문구가 사라지고 빨간색 배경에 'DFCO'와 '1998'만 흰색으로 적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jon seal promotion to Ligue 1 without kicking a ball
http://www.goal.com/[...]
2016-04-22
[2]
웹사이트
Olympique Marseille – Dijon Betting: Phocians odds on for victory
http://www.goal.com/[...]
2018-05-29
[3]
웹사이트
Dijon finish with a flourish
http://www.ligue1.co[...]
2018-05-29
[4]
웹사이트
Lens rues Vachoux blunders as Dijon stays in Ligue 1
https://www.beinspor[...]
[5]
웹사이트
Lille fights back against Lyon to retake top spot in Ligue 1
https://www.france24[...]
2021-05-02
[6]
뉴스
Effectif Pro
https://www.dfco.fr/[...]
Dijon FCO
2021-06-25
[7]
뉴스
Effectif Pro
https://www.dfco.fr/[...]
Dijon FCO
2021-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